본문 바로가기
정치 사회

이상민, "윤석열 KBS 생방송 22시 확정되어 있다" :국무위원들 반대에도 불구하고 계엄 강행

by SunshineBliss 2025. 1. 31.
728x90
반응형

12.3 비상계엄 선포 직전, 윤석열 대통령의 결정 배경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직전, 윤석열 대통령이 국무위원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계엄을 강행한 배경에 대한 새로운 진술이 확인되었습니다.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은 경찰 조사에서 윤 대통령이 "22시 KBS 생방송이 이미 확정돼 있다"며 계엄 의지를 꺾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이로 인해 법적 절차 없이 미리 계획된 대로 계엄이 선포된 정황이 드러났습니다.

 

이미지 출처: MBC 뉴스데스크 방송 캡처

 

 

대통령 집무실에서의 논의 과정

비상계엄 선포 당일인 지난해 12월 3일 오후 8시 40분경,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해 한덕수 총리, 김용현·박성재·이상민·조태열·김영호 장관, 조태용 국정원장이 대통령 집무실에 모였습니다.

 

이상민 전 장관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당시 상황을 설명하며 "제가 도착했을 때 이미 장관님들과 몇 분이 모여 있었고, 대통령께서 '계엄을 선포한다'고 직접 말씀하셨다"고 증언했습니다.

국무위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강행된 계엄 결정

이 전 장관은 경찰 진술에서 일부 국무위원들이 비상계엄 계획에 반대 의사를 밝혔지만, 윤 대통령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유지하며 "22시 KBS 생방송이 확정돼 있다"고 강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윤 대통령이 계엄 강행 의지를 갖고 있었음을 나타내며, 계엄 발표가 사전에 결정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이 전 장관과 일부 국무위원들은 대통령의 의지를 바꾸기 어려움을 느끼고, 당시 자리에 없던 다른 국무위원들에게 추가 연락을 시도하기 시작했습니다.

추가 국무위원 소집 시도와 대통령의 재촉

이 전 장관은 밤 9시 10분부터 다른 국무위원들에게 전화를 걸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부족한 상황에서 윤 대통령은 밤 10시가 다가오자 국무위원들이 다 모였는지를 확인하며, "22시에 내려가야 하는데"라며 다시 생방송을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는 윤 대통령이 국무회의를 거치지 않은 채, 이미 확정된 시간에 맞춰 계엄 선포를 준비했음을 보여주는 정황으로 해석됩니다.

KBS 계엄방송 사전 준비 논란

윤 대통령의 "22시 KBS 생중계" 언급은 앞서 전국언론노조 KBS 본부에서 제기한 '계엄방송 준비 사전 언질' 의혹과 연결됩니다. 당시 노조 측은 "계엄 선포 전 최재현 보도국장이 누군가로부터 '계엄방송'을 준비하라는 언질을 받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최 국장은 "대통령실과 통화한 사실이 없으며, 발표 전 내용을 알지 못했다"고 반박했으나, 계엄 당일의 통화내역 공개 요구에는 응하지 않았습니다.

국무회의 없이 진행된 계엄 발표

이 전 장관의 진술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국무회의 없이 계엄 발표를 진행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계엄 선포가 사전 계획된 것이며, 법적 절차를 무시한 채 진행되었을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합니다.

 

이번 진술로 인해, 윤 대통령이 국무위원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생방송을 이유로 계엄 선포를 강행했다는 의혹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향후 이에 대한 추가 조사와 정치적 논의가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됩니다.

 

출처 : 2025.01.30 MBC [단독] 이상민 "尹, '22시 KBS 생방송 있다'며 계엄 강행하려 해"

728x90
반응형